Microsoft surface pro x 가 다른 서피스들과 다른 점. #02
- 여유만만
- 2021. 2. 6. 21:40
2021.02.06 - [여유만만] - Microsoft surface pro x 가 다른 서피스들과 다른 점. #01
에서 이어집니다.
2 in 1 이라고들 한다.
두 가지 기능이 하나로 통합되어있다는 뜻인데, 키보드를 제거하면 윈도우 10의 테블릿 모드로 테블릿처럼 사용이 가능하고 키보드를 결합하면 노트북처럼 사용할 수 있다.
테블릿 모드에서의 장단점이나 노트북 모드에서 장단점을 따지는 건 아니고 이번 포스팅은 어떤게 다른가에 대해 포스팅을 하는 것이니 장점 보다는 단점을 위주로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한다.
(이것이 바로 내 돈주고 내가 사서 리뷰하는 진정한 맛 아니겠는가?)
자, Microsoft surface pro x 를 구매하고자 하는 분들은 지금부터의 내용을 잘 캐치하시라.
Microsoft surface pro x 를 구매하고자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들.
1. 연결성에 대해 고민하라.
이 기기에는 주변기기 연결단자가 Usb C 포트 2개 밖에 없다.
포트 하나를 마우스를 연결하면 남는 단자는 usb C 포트 1개가 된다.
그래서 확장 포트를 구매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할 것이다.
일반적인 USB 포트가 없기 때문에 USB 메모리를 가지고 다니며 작업해야 하는 사람이라면 이 기기는 비추다.
그래서 나는 이 기기에 연결하는 거의 모든 주변기를 무선으로 연결한다.
무선으로 쓰면 되나보다 하고 만만하게 생각하지 않길 바란다.
왜냐하면 HDMI 단자가 없이 USB C 만 있다는 것은 프리젠테이션 할 일반적인 HDMI 연결선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반드시 본인이 HDMI 에 연결되는 연결 잭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폰 연결단자도 없기 때문에 USB C 용 이이폰을 사든지 아니면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사용해야 한다.
2. 연결성이 좋지 않다는 것이 유발하는 또 다른 불편함.
기본적으로 Microsoft surface pro x는 가볍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ASUS 노트북이 1.1KG 정도인데 체감 무게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난다.
집이 아닌 곳에서 작업하기에 아주 훌륭한 기기다.
하지만 이제부터 생각을 해 보자. 당장 연결성이 떨어지는 이 기기를 위해 무선 마우스를 준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니파잉(마우스와 노트북을 연결해주는 작은 USB 장치)을 활용하는 마우스는 이 기기에 쓸 수 없다. 해당 유니파잉이 USB C 타입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격이 다소 비싼 블루투스 마우스를 써야 한다.
나는 로지텍의 애니웨어2를 이전부터 쓰고 있어 같은 기종을 쓴다. 가격은 대략 7만원 정도다.
이제 우리는 마우스의 충전이라는 신경 쓸 꺼리가 하나 더 생겼다.
이 기기를 만약 학습용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대학생 기준이 아닌 공시생을 기준으로 한다면 하루에 5~6시간 정도의 인터넷 강의를 봐야할 것이다.
이 기기에 교재들을 스캔해서 넣어 공부를 해야 할 수도 있다.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그 정도 재생은 할 수 있을 정도는 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전원관리는 이전의 윈도우 기기에서 볼 수 없을 정도의 훌륭함이 느껴진다.
다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의 전원이 5시간 정도를 견뎌줄 수 있을까가 고민이다.
에어팟 프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렇게 연결해서 쭈욱 사용해 본 적은 없어서 아직은 뭐라 평하기가 어렵지만 6시간 정도 재생이 될 것 같지 않다. - 아, 얼마 주고 샀더라? 30만원?
이어폰 배터리가 떨어질 때 쯤 강의를 살짝 정지해 두고 복습하고 이어폰 충전이 되면 다시 강의를 듣는 방법 혹은 이어폰을 한쪽만 쓰는 방법 이 정도가 되겠지만..
우리는 무선 이어폰의 전원관리라는 신경 쓸 꺼리가 하나 더 생겼다.
3. CPU 가 ARM 이라는 것은?
컴퓨터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낯선 내용이 될 수 있겠지만 cpu 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윈도우용 프로그램들이 이 기기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고 안드로이드용 앱들이 작동되느냐? 아니 그건 하나도 작동하지 않는다.
윈도10에서 내가 구입한 프로그램들을 살펴보면..
대략 이런 식으로 나온다. ACDsee 는 구입을 했지만 이 기기에서는 설치가 되지 않는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워드, 엑셀 등)은 잘 작동된다.
한글2020도 잘 작동된다.
다만 특정 프로그램이 필요한 사람들은 구입전에 해당 프로그램이 이 기기에서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고 난 다음에 "어? 이게 안되네?" 했을 때는 이미 늦다.
서피스 Pro X 가 아니고 cpu를 intel 칩을 쓰는 서피스면 이런 고민을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구동 속도도 차이가 날 수 있다. ARM CPU 에서 INTEL 칩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래을 돌리는 방식이 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내가 쓰는 프로그램은 속도 저하나 이런 부분을 체감할 정도는 아니었다.
윈도우 앱 스토어를 통해 구입을 한다면 해당 앱 구매 페이지에서 "시스템요구사항"을 클릭하고 "아키텍쳐" 부분에 ARM이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이 의미는 ARM CPU에서 에뮬레이팅이 아닌 네이티브로 구동이 된다는 뜻이니 부드럽게 앱을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4. 이런 기기가 늘어날까?
그건 모르겠다.
삼성에서도 ARM CPU를 사용하는 윈도위 기기가 출시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다. 삼성도 이런 방식에 대한 시장 전망을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내 필요에 맞는 기기이니 잘 사용하면 그 뿐인거다.
나는 잘 사용할테니 다른 사람들의 불편함은 잘 모르겠다.
아무 것도 모르고 기기를 구입했다가 여러가지 불편함을 겪을 뉴비들을 위해 일단 체크해 볼 부분들에 대해 적어보았다. 아마 이 리뷰 시리즈는 같은 이름으로 넘버링 되어 쭈욱 이어지지 싶다.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다.
2021.02.13 - [시시콜콜] - Microsoft surface pro x 가 다른 서피스들과 다른 점. #03 으로 이어집니다.